[기본 설정 명령어]
enable: 관리모드
configure terminal (= conf t): 전역설정모드
do: 관리모드가 아닐 때 명령어 앞에 do를 붙이면 관리명령어 가능
copy running-config startup-config: 실행동안 했던 설정들을 다시 시작할 때 복사하겠다 (=저장)
=write momory (=wr me) : 저장
(config) no ip domain-lookup: 없는 ip는 해석안함. 이거 안하면 ip 오타났을 때 명령창 멈춤 => 탈출 방법: 컨트롤+쉬프트+6
(config) line console 0 : 콘솔 접속을 위한 지역?설정모드
(config-line) exec-timeout 0 0 : 화면보호기 시간 설정 무제한으로
(config-line) logging synchronous: 장비를 설정하는 명령어.
장비가 발생시키는 메세지가 화면에 나오면 내가 장비를 설정하기 위해서 임력해놓은 명령어가 사라지는데 그걸 방지함.
(config-line) login local
(config) username admin privilege 15 secret qwer1234 : ID는 admin 비밀번호는 qwer1234로 로그인 설정(시간초 설정은 15가 최대)
[Switch Interface (Ethernet) 설정 명령어] : UTP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
(config) interface fastethernet 0/0 (= int fa 0/0) : 라우터 인터페이스 0/0 부분 설정 0/0: 인터페이스 번호
(config-if) ip address 1.1.1.254 255.255.255.0 : 라우터의 ip주소를 1.1.1.254 서브넷마스크를 255.255.255.0 (=/24) 로 설정
(config-if) no shutdown (= no sh) : 활성화
[텔넷접속]
line vty 0 4
password cisco
local : 콘솔 설정창 내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로 접속
transport input telnet
[SSH접속]
username admin secret cisco
ip domain-name cisco.com
crypto key generate rsa
1024
line vty 0 4
transport input ssh
login local : 장비 자체 비밀번호로 접속
exec-timeout 0 0
logging synchronous
exit
ip ssh version 2
ip ssh time-out 120
ip ssh authentication-retries 3
'정보보안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네트워크 계층(프로토콜)] (0) | 2020.12.24 |
---|---|
Subnet mask와 VLSM Subnetting 예제와 계산법 (0) | 2020.12.15 |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네트워크 계층(주소)] (0) | 2020.12.15 |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데이터링크 계층(장비)] (0) | 2020.12.06 |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데이터링크 계층(주소, 프로토콜)] (0) | 2020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