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SI 7 Layer에서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 장비 접근을 위한 MAC주소(물리적 주소)를 지정하고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.
그 과정에서 쓰이는 장비로는 L2 Switch와 Bridge가 있다.
- MAC 주소
·NIC(Network Interface Card)에 부여된 고유 식별 값
·네트워크 통신에서 인접 장비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의 고유 이름
·공식 이름: EUI(Extended Unique Identifier)
- EUI-48 (48bit Extended Unique Identifier)
·00-0E-35-05-80-6F (= 00:0E:35:05:80:6F = 000E-3505-806F)
·16진수로 표현하며 1byte씩 구분하여 표기함
·상위 24bit → Company ID(=OUI) : 제조업체의 식별코드
·하위 24bit → Extension ID : 장비(NIC)으 제조번호
>하나의 OUI(00-0E-35)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 MAC주소의 개수 = 2^24 = 16,776,216개
- 데이터 전송방식
·Unicast
>단일(1:1)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
>원하는 대상에게만 데이터 전송 가능
>다른 장비에 부하를 주지 않음
·Broadcast
>다수(1:N)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
>동일한 정보를 한 번에 모든 장비로 전송 가능
>너무 많이 발생하면 성능이 저하됨
·Multicast
>특정그룹(1:특정그룹)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
>미리 약속된 그룹들이 있음
>원하는 그룹을 만들어서 사용 가능
- Ethernet Protocol
·LAN을 위해 개발된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
·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고유의 MAC주소를 가지고, 이 주소를 이용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술
·LAN 네트워크의 90% 이상이 Ethernet 방식을 사용함
- Ethernet 종류
·ALOHA
·Xerox Ethernet
·Ethernet V1 (DIX I)
·Ethernet V2 또는 Ethernet (DIX II)
>IEEE표준화를 위해 진행되었지만 기존의 V1과의 호환성을 위해 V2로 발표
·IEEE 802.3
>IEEE에서 DIX 사양에 기초하여 Ethernet을 위해 표준으로 제정한 프로토콜
>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됨 (장비와 장비의 기능을 위해서 장비 스스로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)
※Ethernet V2는 실제 사용하는 모델 // IEEE 802.3은 표준 참조용 모델 (OSI 7 Layer와 TCP/IP의 차이와 유사함)
- Ethernet V2 Frame
·Preamble (8bytes)
>데이터 신호 동기화
▶동일한 패턴(101010...)의 신호를 7byte 연속으로 보내서 데이터 전송을 알림
>2계층 header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
▶마지막 1byte의 1bit를 1로 만들어 2계층 Header가 시작됨을 알림(10101011)
·Destination Address (6bytes)
>목적지 MAC 주소
>DMAC이라 부르고 DA로 표기함
·Source Address (6bytes)
>출발지 MAC 주소
>SMAC이라 부르고 SA로 표기함
·Type (2bytes)
>정확한 명칭은 Ether Type Code
>상위 계층의 Protocol 코드 값(IP: 0x0800, ARP: 0x0806 등)
>최소 코드 값은 16진수값 0x0600(1536)부터 사용됨
·Payload (46~1500bytes)
>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
>2계층의 Payload는 최대 1500bytes(MTU).까지만 사용 가능
·FCS(Frame Checksum Sequence) (4bytes)
>오류 체크를 위한 값
>Header부터 Payload까지의 값을 CRC32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계산한 결과값
'정보보안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네트워크 계층(주소)] (0) | 2020.12.15 |
---|---|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데이터링크 계층(장비)] (0) | 2020.12.06 |
네트워크 유지보수·관리 [물리 계층(장비)] (0) | 2020.12.05 |
OSI 7 Layer 와 TCP/IP 의 차이 (0) | 2020.11.19 |
네트워크란?? (0) | 2020.11.17 |